본문 바로가기

아는 만큼 보이는 경제와 금융

야간근로수당 계산방법 미지급 포괄임금제 24시간 기준으로 22시부터 06시까지는 야간근로시간입니다. 야간근로시간에 근로를 한다면 야간근로수당을 지급받게 됩니다. 야간근로수당의 계산방법 및 미지급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야간근로수당 1. 야간근로에 지급하는 수당 2. 야간근로시간 : 오후 10시부터 다음 날 오전 6시 사이의 근로 3. 시급계산방법 통상 시급 × 야간근로시간 × 0.5 (통상임금의 150분의 50 이상) 4. 상시 근로자 수 5인이상 사업장에 적용됩니다. 5. 연장근로와 휴일근로가 야간근로와 겹치는 경우, 통상임금의 50% 가산되어 지급합니다. 계산방법 1. 오후 4시에 출근해 새벽 3시에 퇴근하는 근로자의 급여를 계산해 보겠습니다. (예:시급 1만 원) ① 기본급여 : 오후 4시 ~ 오후 10시 6시간 × 10,000.. 2023. 11. 10.
2024년 공휴일 대체공휴일 3일이상 연휴 휴일 정리 일 년 365일 동안 주어지는 휴일은 며칠일까요? 다가오는 " 2024년 공휴일 "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대체공휴일, 법정공휴일, 법정휴일 등 휴일을 알아보고 미리 계획하는 여러 가지 일정에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2024년 공휴일 1. 2024년 윤년으로 1년 366일 (1일 증가) 2. 휴일 : 공휴일 + 국경일 + 법정공휴일 + 법정휴일 + 토요일 (주 5일 근무제) 3. 휴일일수 : 119일 ( vs 2023년 117일, +2일 ), 주 5일제 근무기준 4. 관공서 공휴일 (달력의 적색표기일) : 68일 일요일 : 52일 국경일, 설날 등 공휴일 : 18일 2월 11일 설날과 5월 5일 어린이날 일요일과 겹침으로 인해 2일 빠진 68일 5. 22대 국회의원선거일 : 4월 10일 포함 6. 3일 .. 2023. 11. 10.
2023 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 사용방법 직장인이라면 연말정산을 누구나 해야 합니다. 세금을 환급받을 수 있는 지를 미리 알아볼 수 있는 " 연말정산 미리 보기 서비스" 사용방법에 대해서 정리해 보겠습니다. 연말정산 1. 1년 동안 원천징수된 소득세를 정산하여 세금을 추가납부하거나 환급받는 것 2. 매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의 정확한 세금을 계산하여 다음 해 2월에 실제부담할 세액을 정산 3. 차감징수세액에 따라 세금을 추가 납부 하거나 환급받습니다. 4. 차감징수세액 " + " 라면 세금 납부 5. 차감징수세액 " - " 라면 세금 환급 6. 국세청홈페이지 접속하기→ 2023 연말정산 미리 보기 서비스 최적의 절세전략과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연말정산 미리 보기 서비스" 이용방법입니다. 국세청 홈텍스 연말정산 바로가기 1. 국세청.. 2023. 11. 9.
건강보험 본인부담금 상한제 상한액 정리 건강보험 본인부담상한제는 과도한 의료비 지출로 인한 국민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만든 제도입니다. 의료비 본인부담액이 일정금액을 초과할 경우 초과금액을 공단이 돌려줍니다. 상한액의 기준과 적용방법, 환급금 신청방법에 대해서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건강보험 본인부담상한제 1. 본인이 부담하는 건강보험의 본인부담금 개인별 상한액 2. 제외항목 비급여 선별급여 전액본인부담 치과 임플란트 2.3인실 입원료 추나요법 상급병원 경증질환 외래 본인부담금 등 3. 연평균 보험료 분위(저소득→고소득)를 기준으로 상한액 설정 건강보험 환급금 바로 신청하기 본인부담상한액기준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보면 직장(지역) 가입자가 진료연도에 부담한 연평균 보험료를 기준으로 분위를 결정합니다. 상한액 적용방법 1. 사전급여 .. 2023. 11. 9.
연금연계제도 가입기간 연계신청 공적연금제도 국민연금과 직역연금의 연금을 수령하기 위한 최소 가입기간을 채우지 못하고 직장을 옮기게 되었을 때 가입기간 충족을 할 수 있도록 연금연계제도가 시행되고 있습니다. 연금 간 가입기간을 합하여 연금지급연령부터 연금을 받도록 하는 "공적연금연계제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공적연금연계제도 1. 국민연금과 직역연금을 연계하는 제도 2. 직역연금 : 공무원연금, 사학연금, 군인연금, 별정우체국연금 2. 각 연금 간 가입기간을 합산(별정우체국연금은 연계만) 3. 최소연계기간 (10년 또는 20년) 4. 연금지급연령부터 연금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제도 5. 공적연금연계제도 홈페이지 접속하기▶▶ 가입기간 1. 국민연금 10년 2. 군인연금 20년 3. 공무원연금, 사학연금, 별정우체국 연금 10년 (2016년 1월.. 2023. 11. 7.
주휴수당 지급 발생요건 계산방법 단시간근로자 주휴 일주일에 15시간 이상 일하는 근로자에게 주휴수당이 발생합니다. 단시간 근로자에게도 주휴수당이 주어집니다. 주휴수당의 지급대상, 발생요건, 계산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휴수당 1. 근로자가 1주 동안의 소정근로일을 개근한 경우 1주에 평균 1회 이상의 유급휴일을 보장 2. 유급휴일 발생 시 지급하는 수당 3. 근로기준법 제18조 제3항 적용 4. 1주 동안의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인 경우 유급휴일보장 5. 상시 4인 이하의 근로자를 사용하는 사업 또는 사업장에도 적용 6. 행정해석 변경 1주간 근로관계가 존속되고 그 기간 동안 소정근로일에 개근하였다면 1주를 초과한 날(8일째)의 근로가 예정되어 있지 않더라도 주휴수당 발생 발생요건 1. 근로기준법 : 휴일 사용자는 근로자에게 대통령령.. 2023. 11. 7.
군인연금 재해보상 퇴역연금 산정방법 군인으로 상당한 기간을 복무하고 퇴직하거나, 사망한 경우에 본인, 유족에게 지급되는 군인연금이 있습니다. 전역한 사유에 따라 연금의 종류, 지급액이 다르기도 하고 퇴역연금 계산은 개정 연금법 시행날짜를 기준으로도 계산법이 다릅니다. 2013년 7월 1일 이전 임관자에 대한 연금 산정방법에 대해 확인해 보세요. 군인연금 급여 종류 1. 퇴직급여 : 퇴역하는 군인에게 지급 2. 퇴직수당 : 1년 이상 복무 후 퇴직하는 군인에게 지급 3. 퇴직유족급여 : 퇴역연금을 받을 권리가 있는 자가 사망한 경우 그 유족에게 지급 4. 재해유족급여 : 상이연금을 받을 권리가 있는 자가 사망하거나 군인이 공무상 사망한 경우에 그 유족에게 지급 5. 장해급여 : 군인이 공무상 부상 또는 공무상 질병으로 인하여 장해를 입은 경.. 2023. 11. 7.
디딤돌 대출 내집마련 지원대상 신청방법 정리 디딤돌 대출은 주택구입자금 대출이자율 감면을 통해 내 집 마련 지원을 돕고자 하는 정부정책입니다. 내 집마련을 위해 자금이 필요하다면 디딤돌 대출 관련 내용을 꼭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디딤돌 대출 1. 저소득, 무주택자 대상 대출 2. 주택 구입자금 대출이자율 추가감면 3. 지원형태 : 현금(대출) 4. 신청기간은 접수기관마다 다르게 적용 5. 신청시기 : 소유권 이전등기를 하기 전에 신청 5. 웹사이트신청 : HUG 기금 e 든든 홈페이지 접속하기 ▶▶ 대출대상 1. 부부합산 연소득 6천만 원 이하, 순자산가액 6.06억 원 이하 무주택 세대주 2. 생애최초 주택구입자 3. 2자녀 이상 가구는 7천만 원 4. 신혼가구는 8.5천만 원 주택구입자금 대출자격확인 5. 대출대상주택 주거 전용면적 85㎡ .. 2023. 11. 6.
군인연금 급여종류 재해보상 퇴역연금 대상 지급액 군인연금법 및 군인재해보상법상 지급되는 급여의 종류는 다양합니다. 군인연금급여의 종류, 급여지급대상 및 지급액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군인연금 급여종류 1. 퇴직급여 : 퇴역하는 군인에게 지급 2. 퇴직수당 : 1년 이상 복무 후 퇴직하는 군인에게 지급 3. 퇴직유족급여 : 퇴역연금을 받을 권리가 있는 자가 사망한 경우 그 유족에게 지급 4. 재해유족급여 : 상이연금을 받을 권리가 있는 자가 사망하거나 군인이 공무상 사망한 경우 그 유족에게 지급 5. 장해급여 : 군인이 공무상 부상 또는 공무상 질병으로 인하여 장해를 입은 경우 지급 6. 부조급여 : 군인이 재난으로 인하여 재산에 손해를 입거나, 군인의 배우자, 부모(배우자의 부모 포함), 자녀 또는 군인 본인이 사망한 경우에 지급 내 연금조회.. 2023. 11. 6.